id : level6
pw : what the hell
<나의 풀이 기록>
1. 로그인을 하자마자 힌트가 나왔다.
enter를 입력하니 텔넷 접속 서비스 목록이 나왔다.
접속하고 싶은 bbs를 선택하라기에 아무거나 골라서 입력했는데, 모두 연결 시도 도중에 putty 자체가 종료되었다.
내 컴퓨터 상의 문제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이것이 문제 해결 과정의 일부였다.
해킹 방법에 앞서 힌트 내용 자체가 이해되지 않아 관련 정보를 찾아봤다.
대한민국 pc통신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니 내용을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pc통신의 역사를 참조한 hint 내용 해석 : 옛날 pc 통신 시절에 사용된 해킹 방법이다~
↓
- 하이텔 : 한국PC통신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던 PC통신 서비스, 이후 인포샵으로 명칭 변경
- BBS(bulletin board system) :
a computer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the sharing or exchange of messages or other files on a network. (네트워크에서 메시지나 파일 교환 또는 공유를 위한 컴퓨터나 응용)
- 사설 BBS : 개인 또는 단체가 운영하는 주로 비영리 목적의 소규모 PC통신 서비스
- 텔넷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일부 기능이 추가된 소프트웨어
힌트 내용을 해석하자면... 옛날 pc통신 시절에 사용된 해킹 방법이라는 것으로 이해된다.
위 내용은 위키피디아와 구글 검색 결과를 참조해 정리한 것이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음.
하이텔, 천리안 서비스가 2007~2008년 경 종료되었다고 하는데 이때 나는 pc통신에 대해 알기에는 너무 어렸다.
2.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대로 접속할 bbs를 선택하면 강제종료 되니, 다른 해결방법을 찾아봤다.
이번에 사용된 것은 '시그널' 이다.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시그널 중 ctrl+c는 현재 작동중인 프로그램의 동작을 멈출 때 사용한다.
이렇게 힌트만 나온 상태에서 ctrl + c를 입력하면 명령어를 입력 할 수 있는 쉘로 넘어간다.
접속 bbs 선택 화면에서 ctrl + c 를 입력하면 사용할 수 없다는 경고만 뜨고 시그널이 작용하지 않는다.
3. 명령어 입력 쉘에서 파일 목록을 확인하니 hint와 password 파일이 눈에 띈다.
hint 파일 내용은 로그인 하자마자 바로 나오는 내용이었다.
password 파일 내용을 확인하고 비밀번호를 알아냈다.
<풀이 요약>
1. hint 파일 열린 상태에서 리눅스 종료 시그널 ctrl+c
2. 명령어 입력 쉘로 넘어가면 파일 목록에서 password 파일 내용 확인
3. 비밀번호 획득
<후기>
사실 비밀번호를 구하는 과정은 허무 할 정도로 몇 단계 되지 않고 간단하지만 이 문제를 통해 대한민국 pc통신의 역사에 대해서도 더 알아볼 수 있었고 중요한 리눅스 시그널을 알아둬야 필요할 때 활용할 수 있겠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재밌다~~!
'해킹 공부 > 시스템 해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Z 해커스쿨 level8 - 암호 해독(John the Ripper 이용) (0) | 2021.11.14 |
---|---|
FTZ 해커스쿨 level7 - 2진수 해독(아스키 코드) (0) | 2021.11.04 |
FTZ 해커스쿨 level5 - 심볼릭 링크 (0) | 2021.10.31 |
FTZ 해커스쿨 level4 - backdoor파일, finger (0) | 2021.10.02 |
FTZ 해커스쿨 level3 - 다중명령어 (0) | 2021.10.02 |